- 교사의 행정업무 과중문제의 대책으로 제시되는 행정업무 행정실 이관정책은 본 직무(수업, 연구, 학생지도 등)에 효과적인 정책인가?에 대해 토론하기
1개의 좋아요
아주 구체적인 쟁점인데, 선정 동기 등에 대해서 보완해 주시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될 듯 싶습니다.
교원업무 정의, 행정업무 경감 정책 역사, 행정업무 부담 현황과 실태
교원 업무의 정의를 업무, 직무, 잡무로 나누어 정의하고, 이에 따라 탐구해보자.
업무의 사전적 정의 : ‘직장에서 의무나 직분에 따라 맡아서 반복적으로 하는 일’
직무의 사전적 정의 : ‘직책이나 직업상에서 책임을 지고 담당하여 맡은 사무’
잡무의 사전적 정의 : ‘직업 상 주어진 일과는 관련이 없는 여러 가지 자질구레한 일’
<행정업무 과중문제의 대책으로 제시되는 행정업무 행정실 이관정책의 사례에 대한 논문입니다.>
광주광역시 담임교사 행정업무 제로화 정책집행 과정 분석: 정책선도학교 A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신형수, 박수정, (2016), 중등학교 저격령 남교사의 행정업무 적응 경험
- 기피업무를 맞고 동료교사에게 의존
- 적응되어 업무과중에 시달림. 보상은 실망. 희생요구.
- 비슷한 업무의 반복. 전문성을 가짐.
- 업무분장의 모호성. 행정실과 연공서열에 따른 기싸움.
- 교사와 관리자 행정업무 인식 변화. 교사의 교육<행정업무 전문성
*‘교직실무’ 교직과목이 주는 도움은?
*신규교사 연수 시 행정업무에 대한 내용이 있나?
*저경력 교사에 대한 지원, 매뉴얼은? <<거의 없음
*학교마다 다른 행정업무 표준화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