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교사가 ai 로 대체 가능한가?

  1. 교사 브이로그 관련 논쟁
  2. 학생이 문제행동을 일으킬 때 생기부 등을 이용해 순응하도록 하는 것이 옳은 행위인가
  1. 교사의 행정업무 과중문제의 대책으로 제시되는 행정업무 행정실 이관정책은 본 직무(수업, 연구, 학생지도 등)에 효과적인 정책인가?
  1. 교사 인권 관련 문제 (교권 침해, 비정규직 교사 차별 문제 등)

아주 구체적이네요. 왜 사서교사인지 조금 밝히면 어떤지 싶네요. 배경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port&m201_id=10013366&local_id=10020891

참고논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port&m201_id=10013366&local_id=10020891

참고논문2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인터넷 기반 교육용 컨텐츠 개발 및 평가 연구 (이병기, 2009)

참고
피디에프 파일이 올라가지 않아서 논문명으로 일단 게시합니다.

한윤옥, “전문직으로서의 사서교사에 대한 사회문화적 전망에 관한 연구 ”, 2001

파일이 올라가지 않아서 마찬가지로 논문명만 게시합니다.

http://www2.scholastic.com/content/collateral_resources/pdf/s/slw3_2008.pdf

참고자료.

Dr. Souvick Ghosh, “Future of AI in Libraries”, SJSU, (March 15, 2021)

워드 그래프 분석 참고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서관 변화와 사서교육 방향에 대한 고찰(박옥남)

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사서교육의 방향성 제시

서론 정리 :
4차 산업혁명은 기존 산업의 생명주기를 단축시키고 수많은 산업이 생성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변화를 불러옴. 이와 함꼐 기존 직업의 많은 부분이 컴퓨터 인공지능에 의해 자동화되고 일자리 감소될 것임

본론 및 결론 정리 :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서관의 변화
도서관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자유롭고 완전한 접근을 제공하는 문화적 기관으로 변모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함. 정보접근의 공간이라는 정체성을 유지하도;, 융통성, 참여, 대화, 살아있는 공간이 되어야 함 > 사서는 혁신을 두려워해서는 안 되며 사서교육의 변화는 이러한 관점에서 변화해야함
4차 산업혁명의 교육적 함의 안에서 사서교육의 문제 및 방향(인재산, 교육 방법, 교육 내용 중심)
교육내용변화를 위해서 사서교육은 동형화를 벗어나 비형식교육의 활용 및 특화된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함. 스스로 학습하고 혁신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현장학습, 인턴십 등의 비형식교육의 활용이 중요하며 교육현장과 도서관현장의 간극을 줄이기 위하여 산업수요를 반영한 실무 중심형 교육을 실시해야함.

교육방법의 변화는 전통적 지식전달 위주의 교수방법을 벗어나 개별화된 교육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제시, 거꾸로 학습, 프로젝트 중심, 문제중심 학습방법의 적용 등 다양한 교수-학습법을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 조력자로서의 교수자 역할을 강조하며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탐색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지식의 습득이 아닌 학습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사서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

사서 교사의 역할 인식 분석(송기호)

사서 교사의 역할 인식 및 개선 방안

서론 정리 :
사서교사란?
독서, 탐구, 연구, 사고, 상상 그리고 창의성을 기반으로 교수-학습 활동을 수행하는 물리적․디지털 학습 공간인 학교도서관의 책임자. 사서 교사의 역할은 상호작용이 가능한 학교도서관 환경을 조성하고,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도구로써 정보활용능력을 지도하는 것이 사서교사의 역할임.

본론 및 연구 결과 :
역할 인식 분석 결과 사서 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역할과 실제 수행하는 역할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사서 교사는 교수자로서 정보활용교육을 지도하고, 교수 파트너로서 도서관 활용수업과 협동수업을 운영해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찌만, 실제 수행하고 있는 독서교육과 도서관이용교육인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사서교사의 리더십을 개발하고 교수자, 교수 파트너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노력을 해야함.(정보활용교육을 범교과 학습주제에 포함한다. 정보활용교육을 통해서 지도하는 정보활용능력은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을 기반으로 수업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범교과 학습능력이다. 따라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정보활용교육’을 범교과 학습주제로 포함하면, 일반 교과는 물론 창의적 체험활동 등 교육 활동 전반에 걸쳐서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 사서의 핵심업무에 관한 연구(박태연 외3)

미래 사서의 핵심 업무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사서의 새로운 역할

서론 정리 :
3차 산업혁명을 겪으며 도서관 자동화는 사서들의 단순반복적인 수작업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더 창조적인 서비스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시하였으며, 웹과 디지털 도서관이 통합되는 하이브리드 도서관의 범용화는 사서들로 하여금 콘텐츠 중심의 이용자 서비스의 중요성, 즉 웹, 웹 검색 기술,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지식, 그리고 이용자 요구 분석 기술을 요구함. 마찬가지로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4차 산업혁명은 또 다른 새로운 역량들을 요구하게 될 것.

본론 및 결론 정리 :
첫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고용구조 및 업무환경 변화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
사람의 두뇌를 대체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출현으로 도서관내 직군들 다수가 향후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현직 사서들의 직무 불안을 느낌. 그러나 일반적으로 혁신적 기술이 사회에 적용되어 일자리 구조를 변화시키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으며, 직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과업을 기준으로 자동화 가능성을 분석하였을 때, 사서는 저변화, 저위험군에 속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음.

둘째, 사서 직무별 신기술 적용 가능성을 분석
분석 결과, 6개 기술 중 사서 직무영역에 적용 가능한 정도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인지컴퓨팅, ICT 융복합 디바이스, 인터렉션·스마트 콘텐츠 순으로 나타났으며, 분석 대상 직무의 78%에 해당하는 43가지 직무가 1개 이상의 신기술의 영항을 받을 것으로 분석됨.

미래 사서의 핵심업무는 및 새로운 역할을 제시
미래 사서는 난이도 높은 직무 영역의 기술 대체로 인해 업무 과중을 해소할 수 있을 것. 이를 기회로 새로운 영역의 직무 개발에 힘써야 함. 또한 신기술의 영향력이 커지는 만큼 해당 기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어야 함. 마지막으로 기술의 영향을 받지 않는 프로그램 진행하기, 조직인사관리, 커뮤니케이션 관련 직무, 전문직으로서의 사서 역할, 법·제도·정책 관련 전문지식을 적극적으로 함양할 필요가 있음. 미래의 사서는 더이상 정보의 수집, 관리, 제공자일 뿐만 아니라 융합적 창조자, 통찰적 관리자, 데이터 사이 언티스트, 서비스 창충 기반 요소 제안자, 창조적 기획자, 디바이스 헬퍼, 퍼스트 부머, 협상가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

인공지능 시대, 가르치는 일의 의미 재탐색: 레비나스 철학을 바탕으로(이상은)

인공지능 교사로 대체될 수 없는 인간 교사의 가르침의 차별성

서론 정리 :
코로나 사태로 인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수업 방식의 변화는 교사로부터 직접 배우는 전통적인 방식의 가르침이 필요한 이유와 의미에 대해 다시 진지하게 묻는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가르치는 일의 변화를 이야기할 때 화두가 되는 것이 인공지능 교사이다. 이 글은 인공지능 교사의 등장이라는 다소 낯선 상황적 맥락에서 교사의 역할을 다시 성찰해볼 필요가 있다고 보고, 레비나스 철학을 토대로 가르치는 일의 의미를 재탐색해 보는 데 그 목 적이 있다.

파일 첨부가 되지 않아 직접 쓴 요약본을 복붙해서 옮깁니다!

참고한 전공 교재입니다

<문헌정보학의 이해> ,완전개정 제3판, 문헌정보학의 이해 편찬위원회 편